변비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습니다. 대한대장항문학회에 따르면 한국인 10명 중 3명은 변비 환자라고 알려졌을 정도다. 변비의 원인은 다이어트나 소화기관의 노화 등 다양하지만, 무엇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식습관입니다. 어떻게 개선하는 게 좋을까?
변비는 대장의 연동 운동이 저하돼 원활한 배변 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.
일주일에 3회 미만으로 변을 보거나
변을 볼 때마다 과도한 힘이 들어가거나
잔변감이 있거나
변이 과도하게 딱딱하거나
인위적으로 항문에서 변을 빼내야 하는 경우
변비로 정의합니다.
특히 요즘 프로틴바(단백질바)나 단백질 쉐이크로 한 끼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은데, 변비에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. 전문가들은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건더기가 없어서 섬유질을 꼭 같이 먹어야 원활한 배변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.
식이섬유는 대변의 수분과 부피를 늘리고 장운동을 촉진해 변비 완화‧예방에 효과적입니다.
한국영양학회에서 권장하는 성인 일일 식이섬유 섭취량은 20~25g입나다.
대표적으로 브로콜리, 양배추 등 채소와 김 ,프룬, 아마씨 등에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. 기름진 음식도 피해야 합니다.
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돼 위장에 무리를 주면서 변비를 일으킵니다.
다만, 경련성 변비나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의 경우에는 식이섬유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.
경련성 변비는 배에 가스만 찰 뿐 변이 쉽게 나오지 않으며, 어렵게 배변을 해도 토끼똥이나 실똥 형태로 나온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이미 경련 증상을 보이는 상태에서 식이섬유가 장을 자극하면 경련이 더 심해질 위험이 있습니다.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의 경우 음식이 소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이섬유가 대장에 도착하면 세균에 의해 발효되고 가스가 발생해 복부 팽만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.
식습관 개선으로도 증상 완화 효과가 없다면 약물을 복용합니다. 주로 삼투성 완화제 약물을 쓰는데, 대변에 수분 함량을 높이는 것입니다. 항문을 움직이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에게는 전극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. 항문에 전극을 달아 항문 운동을 관찰하는 일종의 행동치료입니다. 평소 올바른 배변 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. 화장실에 스마트폰이나 책을 들고 가 오래 앉아 있는 행동은 자제하고, 변의를 느꼈을 때는 참지 말고 화장실에 가야 합니다.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 골수에서 줄기세포 뽑아 치료, 관절 기능 좋아진다 (1) | 2023.12.02 |
---|---|
암, 심장병 아닌 세계 3대 사망원인은 이 질환, 모르는 사람 너무 많아 (0) | 2023.12.01 |
채소, 과일 잔류 농약 걱정 없이 세척하는 방법 (1) | 2023.11.29 |
오메가3가 심방세동 위험 높인다는 데, 섭취해야 할까, 말까 (2) | 2023.11.28 |
독이 될 수 있는 모닝커피, 이때 마셔야 (0) | 2023.11.27 |